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의 서울교통공사노조와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로 구성된 연합교섭단은 공사가 예고한 구조조정안을 철회하지 않으면 오는 30일부터 총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연합교섭단은 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와 정부가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30일부로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앞서 오는 16일부터는 역무원들의 2인1조 규정 검수 투쟁을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이 경우 지하철 운행이 축소되는 것은 아닙니다.
연합교섭단은 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와 정부가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30일부로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앞서 오는 16일부터는 역무원들의 2인 1조 규정 검수 투쟁을 시작하기로 했다. 이 경우 지하철 운행이 축소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들은 신당역 역무원 스토킹 사건 이후 ‘나 홀로 근무’를 방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는데도 서울시와 공사 측이 대규모 인력감축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반발했습니다. 김철관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 위원장은 “5월 심야 시간 연장 운행 재개를 위해 노사가 협상한 결과 장기결원인력을 충원하고 부족한 승무원 인력을 증원하기로 합의했다”며 “하지만 이 합의서가 채 반년이 안 돼 휴짓조각이 됐다”고 비판했습니다.
명순필 서울교통공사노조 위원장은 “공사가 노동자와 시민의 안전을 책임질 의무를 방기한다면 우리는 단호하게 총파업 투쟁으로 시민의 편에 설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총파업이 시작되면 서울 지하철 1~8호선은 감축 운행이 이뤄진다. 평상시 대비 운행률은 1호선 53.5%, 2호선 72.9%, 3호선 57.9%, 4호선 56.4%, 5~8호선은 79.8%다. 주말 운행률은 전 노선에서 절반 수준이 됩니다. 연합교섭단은 지난 1일부터 4일까지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했습니다. 전체 조합원 1만3831명 중 1만2292명(88.9%)이 참여했고 이 중 79.7%(9793명, 전체 인원 대비 70.8%)가 파업에 찬성했습니다. 반면 공사 측은 안전 인력을 감축할 계획이 없으며 조리원 등 외주에 맡기는 방식으로 인력을 줄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공사 관계자는 “새로 인력감축안을 발표한 것이 아니고 지난해 5월쯤 이야기가 나온 혁신안대로 하겠다는 것”이라며 “정확한 감축 규모는 추후 노조와 협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서울지하철의 파업은 2016년 성과연봉제 반대 총파업 이후 6년 만입니다. 연합교섭단은 서울교통공사의 재정위기 타개를 위해 2015년 6월 이후 한 차례도 오르지 않았던 지하철 요금 인상과 시와 정부의 부채 해결 노력 등도 요구했습니다. 이들은 조만간 오 시장에게 공문을 보내 공식 면담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최근 핫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주가 200달러 붕괴...머스크 '트위터 리스크' 현실화 (0) | 2022.11.09 |
---|---|
코로나19 신규 확진 6만2273명 54일만에 최다!! (0) | 2022.11.08 |
"손목 위의 벽돌?"...삼성 '갤 워치4' 무상 수리에도 '부글부글' (0) | 2022.11.07 |
'음주운전' 김새론, 생활고로 카페서 아르바이트 (0) | 2022.11.06 |
경찰청장, '이태원 참사' 모르고 잠들었다...보고 문자 전화 놓쳐 (0) | 2022.11.05 |